English/Listening

Astronomy

공학병아리 2021. 7. 14. 16:47

태양계 생성에 관한 학설

성운설(Nebular hypothesis)

: 거대한 가스 성운이 점차 냉각 수축하면서 회전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중심부는 태양이 되고 뭉쳐진 고리모양의 가스 덩어리는 생성이 되었다는 설

조석설(Tidal hypothesis)

: 원시 태양 주위에 다른 별이 접근할 때 생긴 인력으로 태양으로부터 끌려 나온 가스가 식은 후 뭉쳐 지금의 행성의 모습을 이루었다는 가설

 

태양풍(solar wind)

: 태양으로 부터 우주 공간을 향해 쏟아져 나가는 전자(electron), 양성자(proton), 헬륨 원자핵(alpha-article) 등 입자의 흐름

지구는 자기력선(lines of magnetic force) 때문에 태양풍에 직접 노출되지 않으나

달은 이러한 보호벽이 없어 태양풍에 그대로 노출되게 됨

태양계가 탄생할때 태양풍에 의한 에너지 때문에 밀도가 낮은 목성형 행성(jovian planet)이 바깥에 위치하게 되고 밀도가 높은 지구형 행성(terrestrial planet)이 안쪽에 자리잡게 됨

 

달의 생성에 관한 학설

Fission hypothesis : 지구가 빠른 속도로 자전하면서 지구의 일부가 떨어져나가 달이 되었다는 설

Capure hypothesis : 지구의 중력이 지나가는 운석을 끌어당겼다는 설

Collision hypothesis : 다른 물체가 지구와 충돌하면서 발생한 파편과 가스가 모여 달이 만들어졌다는 설

 

혜성과 유성

혜성(Comet) : 타원이나 포물선 궤도를 따라 태양 둘레를 도는 긴 꼬리를 가진 천체

 

유성체(meteroid) : 우주에서 궤도를 갖지 않고 대기권에 집입하지 않고 행성으로 떨어지는 물체

유성(meteor) : 유성체가 행성의 대기권으로 진입할 때 대기권과의 마찰으로 타고 있는 상태

운석(meteorite) : 대기권을 다 통과한 후 유성이 행성표면에 떨어진 것

 

초신성과 별의 형성

적색거성(Red Giant Star) : 항성이 부피가 팽창하고 표면온도가 낮아지며 대류층이 깊게 변한 별

백색왜성(White Dwarf) : 항성진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표면층의 물질을 우주공간으로 방출하고 남은 물질들이 뭉쳐 형성된 별

초신성(Supernova) : 항성이 수명을 다하고 폭발할 때 거대한 에너지를 우주 공간에 순간적으로 방출하고 그 밝기가 평소의 수억배에 이르렀다 다시 어두워지는 현상

'English > Listen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guistics  (0) 2021.08.07
Geology  (0) 2021.08.04
Meteorology  (0) 2021.07.21
Environmental Science  (0) 2021.07.21
Art  (0) 2021.07.15